'KO패'에 남은 시간 10년인데…더딘 탄소 감축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오프닝: 이광빈 기자]
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 함께 보시죠.
[영상구성]
[이광빈 기자]
전 세계가 온실가스로 인한 이상 기후 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현실, 이젠 많이 접하셨죠. 이 문제를 다루는 유엔 산하기구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IPCC가 최근 지구 온난화의 현재와 미래를 총망라한 평가보고서를 내놨습니다.
미래의 재앙을 막기 위해 남은 시간은 10년뿐이라고 경고했는데요. 기후변화에 대한 경고음은 이제 커질 만큼 커졌는데, 대응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종 경고 보고서의 내용과 일상으로 다가온 기상이변, 우리의 월급통장을 위협하는 기후무역장벽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윤솔 기자입니다.
[다가오는 '기후 폭탄'…"남은 시간은 10년뿐" / 윤솔 기자]
[기자]
녹아내리는 빙하부터 이상고온, 예상을 넘는 폭우까지..번져만 가는 기후 위기를 막을 시한은 얼마나 될까.
지구의 기후 운명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IPCC의 답은 '10년'입니다.
최근 만장일치로 채택된 6차 평가 보고서는 더 이상 끌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단기 기후 행동의 시급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6차 보고서에서는…최근 이상 기온의 상당 부분은 인간에 의한 기후 변화란 요소를 빼고서는 설명될 수 없다라는 거까지 진전이 됐습니다. 큰 진전이 됐다고 볼 수가 있겠죠."
보고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탓에 1850년에서 1900년 대비 지구 지표 온도가 1.1℃ 상승했다고 말합니다.
이 추세대로라면 20년 뒤에는 1.5℃가 오른다는 게 보고서의 전망입니다.
이전 예측보다 10년 빨라진 겁니다.
"지난 6~7년 간 과학자들이 모여서 온실가스 배출이나 농도나 이런 걸 해봤더니 생각보다 빨리 올라간다는 거잖아요. 에너지 사용이 아직도 화석 연료 베이스다 이런 얘기니까 시간이 얼마 안 남았다는 그런 절박함, 그런 걸 의미하고 있죠."
지표 온도가 1.5℃ 오른다는 건 극단적 폭염이 과거보다 8.6배 많아지고 집중호우와 가뭄 등 큰 피해를 낳는 기상이변도 잦아진다는 뜻입니다.
보고서는 또 국제적인 노력으로 이뤄진 기후 변화 협약과 교토의정서, 파리 협정은 기후 위험을 줄이는 데에 효과적이지만 위반국을 제재할 수 없는 점에서 한계가 있는 점도 지적합니다.
"법을 위반하면 제재를 가하는 것처럼 국제사회에서는 그런 것들이 통하는 게 아니잖아요. 부담이 크다보면 회피하고 싶은 생각도 들거든요. 그러나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이죠. 다음 세대의 일자리와 생존과 발전을 위해서 이 문제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
유엔은 IPCC 보고서 발표와 관련해 탄소 배출이 없는 넷 제로 달성시점을 선진국은 2040년, 개발도상국은 2050년으로 앞당길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수많은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와 관련해 앞으로 10년이 골든타임이라고 지적합니다. 우리의 선택과 행동이 향후 수 천년에 걸친 인류의 미래를 좌우할 거라는 경고입니다.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이광빈 기자]
올해 봄꽃들이 역대급으로 일찍 피면서 상춘객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있습니다만
그 이면엔 온난화라는 그늘이 있는데요. 이상 고온으로 봄꽃들이 일찍 피면서 적응 못한 꿀벌들이 폐사하고, 생태계가 점차 무너지는 겁니다. 이른 봄꽃은 기후 변화에 대한 심각한 경고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김동혁 기자 입니다.
[이대로 두면 진달래 2월에 핀다… 이른 봄꽃의 경고 / 김동혁 기자]
기찻길을 따라 연분홍빛의 벚꽃 터널이 장관을 이룹니다.
평소보다 일주일이나 빨리 꽃망울을 터트리면서, 상춘객들의 마음을 설레게 합니다.
부산에서는 관측 102년 만에 역대 가장 일찍 벚꽃이 폈습니다.
때 아닌 봄 더위 탓입니다.
"올해 3월 1일부터 18일까지 부산의 평균 기온은 11.2도로 평년보다 3도가 높았고요. 일조시간은 133.7시간으로 평년보다 18.3시간 길었습니다. 높은 기온과 긴 일조시간으로 빨리 개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과 대구에서도 관측 사상 두 번째로 빠르게 봄꽃을 맞이했는데,,봄꽃 개화 시기는 매년 눈에 띄게 빨라지고 있습니다.
1980년대 4월 개화가 일반적이던 진달래는 2000년대 들어선 3월에 더 많이 피고 있습니다.
이대로 온실가스를 계속 배출한다면,
대구에선 지금보다 한 달 가량 봄꽃들이 더 빨리 피고, 서울과 강릉, 부산 등도 20일 이상 앞당겨집니다.
21세기 후반기엔 진달래가 겨울인 2월 말에, 개나리는 3월 2일, 벚꽃도 3월 초순이면 필 것이란 예측이 나옵니다.
진달래와 벚꽃을 봄꽃이라 부르지 못하는 상황이 오는 겁니다.
"우리나라 과거 109년의 기온 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다른 계절에 비해 봄 계절의 기온 상승률이 가장 빠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봄꽃 개화 시기의 변동은 지역 축제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때이른 개화 현상은 이미 생태계를 뒤흔들고 있는데, 꿀벌의 감소가 대표적입니다.
"사람이나 말이나 소 등 가축들은 그래도 적응을 하는데, 식물이나 곤충들은 굉장히 민감한가봐요. 적응을 못하고 허약해지는 거죠"
식량 공급과 먹이사슬에 필수인 꿀벌의 소멸은 사람의 생존까지 위협할 수 있습니다.
"세계 100대 주요 농작물 중에 70% 이상을 꿀벌이 수분 매개를 한다 이렇게 발표 하고 있거든요. 생태계 유지에 대단히 중요하고. 아인슈타인 박사는 꿀벌이 사라지면 우리 인류도 4년 이내에 멸망할 것이다 이렇게 발표를 하고 그러거든요"
봄꽃의 비상식적인 이른 개화와 꿀벌 소멸이란 경...